본문 바로가기

Python cook book

[python cook book] 2.연산자, 입력함수

연산자란?

주어진 식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계산해 결과를 얻어내는 과정을 연산이라고 하며, 

그 연산을 하는 기호를 연산자라고 한다. 그리고 연산을 당하는 대상을 피연산자라고 한다.

 

연산자의 종류

수식연산자

수식연산자는 이항 연산자(피연산자가 2개인 연산자)이다.

ex) +, -, *, /, %, **, //- c언어에서는 같은 자료형끼리는 연산을 할 수 없지만,   파이썬에서는 연산대상이 '숫자'이면 연산을 할 수 있다.

 

논리연산자

논리연산자는 참(True)과 거짓(False)을 반환하는 연산자이다.

and : 둘다 참일때 참

or : 둘중 하나만 참이여도 참

not : 참이면 거짓, 거짓이면 참 

 

관계연산자

관계연산자는 크다, 작다, 같다, 다르다 등을 판별하는 연산자이다.

< : 오른쪽이 왼쪽보다 크다.

<= : 오른쪽이 왼쪽보다 크거나 같다.

> :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다.

>= : 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거나 같다.

== : 같다

!=  : 다르다

 

 

입력함수란?

입력을 받는 함수이다.

 

input함수

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변수에 저장하는 함수이다.

input() 또는 input("입력을 받을 때 뜨는 메세지") 모양이다.

ex) a = input() 

     => 입력받은 값이 변수 a에 저장된다.

      b = input("입력하시오.")

     => 입력을 받을 때 "입력하시오."라는 메세지가 뜨고 입력받은 값이 변수 b에 저장된다.      

 

- 입력한 값이 문자열로 저장되므로 정수형으로 저장하려면 int(input()), 실수형으로 저장하려면 float(input())로 해야한다.

 

'Python cook boo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ython cook book] 1.변수와 출력함수  (0) 2023.04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