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[python cook book] 3.문자열

문자열이란?

문자열이란 하나 이상의 문자들의 집합이다.

파이썬에서는 따옴표 사이에 있는 것이다. 예를 들어서 "cat", '1234'등을 문자열이라고 할 수 있다.

 

 

따옴표를 그대로 출력하기

큰따옴표 사이에 있는 문자열은 작은 따옴표로 감싸주고 작은 따옴표 사이에 있는 문자열은 큰따옴표로 감싸준다.

ex) " 'cat' " => 'cat'

       ' "cat" '  => "cat"

 

큰따옴표 세개로 감싸거나 작은따옴표 세개로 감싸주면  줄 바꿈도 할 수 있다.

ex) ''' It's me ''' => It's me      """ What's up? """ => What's up?      ''' Progress,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Progress,          not perfection. '''   =>   not perfection

 

이스케이프 시퀸스

이스케이프 시퀸스는 출력할 때 특정한 제어기능을 가진 문자열이다. 백슬래쉬(\)뒤에 문자나 숫자가 조합된다.

이스케이프 시퀸스
\\ 백슬래시(\)
\" 큰따옴표(')
\' 작은 따옴표(')
\n 줄바꿈(개행)

ex) "Progress, \n not perfection"  => Progress,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not perfection

 

 

문자열 연산

더하기 연산자를 써서 문자열을 연결시킬 수 있다.

ex)  a = 'post'        b = 'it'        print(a + b)        => postit

 

곱하기 연산자를 써서 문자열을 반복해서 출력할수 있다.ex) a = 'exam'      result = a * 3      print(result)     => examexamexam

 

인덱싱

인덱싱이란 문자열의 각 문자마다 번호를 매기는 것이다.

ex) a = "diet"

      print(a[3], a[1], a[2]. a[0])

      => tied

 

뒤에서부터도 접근 할 수 있다.

ex) a = "log"

       print(a[-1], a[-2], a[-3])

       => gol

 

슬라이싱

슬라이싱이란 문자열에서 원하는 부분만 뽑아내는 것이다.

ex) a = "believe"

       print(a[2:5])

       => lie

 

문자열 포매팅

문자열 포매팅이란 문자열 사이에 포맷코드를 대입시켜서 출력하는 것이다.

포맷코드
%d 정수
%f 실수
%c 문자 한개
%s  문자열

1. %로 포매팅

ex) level = "라이트"

      print("%s 쎈 풀고있어" %(level))

      => 라이트 쎈 풀고있어

 

2. format함수로 포매팅

ex)  species1 = "샴"

        species2 = "러시안블루"

        print("저기는 {0}고양이, 여기는 {1}고양이".fomat(species1, species2))

     => 저기는 샴고양이, 여기는 러시안블루고양이

 

3. f문자열로 포매팅

ex) age = 18

       name = Mark

      print(f"내 이름은 {name}이고 나이는 {age}살이다."

      => 내이름은 Mark이고 나이는 18살이다.